새 사용자 경험/개념 이해

This page is a translated version of the page New Editor Experiences/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translation is 87% complete.
Outdated translations are marked like this.

위키백과의 개념 이해는 새 사용자 경험 프로젝트에서 임시적으로 프로젝트의 역량을 집중하기로 한 두 영역 중 하나입니다.

새롭고 잠재적인 편집자는 자주 위키백과의 주요 개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다음 위키백과의 조직적 모델의 중요한 부분을 이해하지 않을 수 있어: 위키백과는 자원봉사자 커뮤니티에 의해 편집되고 운영되고 있다는 것, 편집하기 위해서는 아무 권한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 기사가 협동적이고 순차적인 변화를 통해 개발된다는 것, 등등을. 내용을 조정하는 확인 가능성, 중립성, 중요성과 같은 주요 정책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어.

이런 이해의 간격은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아무나 편집할 수 있지만 인증된 전문가만 하도록 권장된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기본적일 수도 있고 (논란 없는 진실에 대한 출처를 넣는 것이 허용된다는 것을 못 알아차리는 것과 같은) 높은 수준인 것일 수도 있어. 어떤 경우는, 사용자가 이해하지 못한 개념이 있다는 걸 알아 (예를 들자면, 한 사용자는 위키백과에 추가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지만, 아직 그 한계가 뭔지 알 방법을 전혀 모르겠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다른 경우, 사용자들은 존재하지도 않은 지식 구멍 때문에 고통을 받음(예를 들면, 모든 변경은 역사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고 편집하면 영구적인 피해를 줄까 걱정하는 것처럼).

각각 사용자의 위키백과에 대한 이해(말하자면 "위키백과 문해력")에는 서로 다른 격차가 있어서, 이 문제에 대한 단일한 또는 간단한 해결책은 없어. 그런데 더 이해하는 데에 순차적인 성공은 신입 편집자의 장애를 줄일 거고, 자주 신입 사용자의 잘못된 이해로 만들어진 상황들과 대처해야 하는 숙련된 사용자한텐 작업량은 줄일 수 있어.

연구 발견

이 문서는 연구의 8번 발견과 5번 발견에 대해 집중합니다.

발견 8: 정책을 힘들어함

다음 내용은 연구 보고서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발견 8에 대한 전문은 22페이지에서 24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발견 8. 신규 편집자들의 가장 큰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 개념입니다. 그들은 위키백과의 정책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위키백과 답게" 문서를 만드는지 잘 모릅니다. 새 사용자들은 편집 과정의 전문성을 파악하다가 난관을 만나기도 하지만, 주로 위키백과 활동을 단속하는 구조와 정책에 의해 방해를 받습니다. 대부분의 새 사용자들은 위키백과의 정책과 그 내면의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따라야 할지 혼란에 빠집니다...

위키백과를 계속적으로 편집하겠다는 강한 동기가 있거나 편집 과정을 즐기는 새 사용자만이 정책과 규칙에 관한 문서를 찾아 읽어보는데, 그럼에도 규칙이 빡빡하고 혼란스럽다고 생각함. Most new editors either became easily frustrated when their edits were reverted, or shied away from creating new content that would require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o write for Wikipedia and focused just on correcting pre-existing content.

새 사용자가 맞닥뜨리는 가장 흔한 개념적인 문제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확인 가능, 인용...
  • 문서 등재 기준...
  • "백과사전답게" 중립적인 관점으로 글 쓰기...
  • 저작권, 특히 사진...

몇몇 새 사용자들은 시행착오를 겪거나,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적극적인 피드백을 받고 이러한 개념적 문제를 성공적으로 극복했습니다.

발견 5: 위키백과의 알려지지 않은 모델과 숨어있는 공동체

다음 내용은 연구 보고서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발견 5에 대한 전문은 18쪽을 참조하십시오.

발견 5. 위키백과가 만들어지는 과정의 복잡성과 단절성, 그 뒤에 숨겨진 커뮤니티 기능 때문에 독자들을 사용자로, 새 사용자를 숙련된 사용자로 전환시키기가 어려워집니다.

대다수의 새 사용자들은 위키백과의 작동 원리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거나, 잘못 알고 있다는 사실조차도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편집 기능에 대해 깨닫거나 위키백과 밖에서 편집해 본 사람들(예: 뉴스기사, 친구, SNS)로부터 배우기 전까지, 위키백과를 전문가 전용 집단 내지 소규모 집단으로 오해합니다. 대다수의 새 사용자들은 편집을 시작한 뒤에도 위키백과의 정책이나 그 원리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다른 사용자들의 존재나 소통에 대해서도 알지 못합니다. Some thought that Wikipedia was edited only by experts or a small group, until they noticed the edit function or learned that anyone could edit outside of Wikipedia (e.g., through news articles, friends, or social media). Once they started editing, most new editors did not understand Wikipedia’s policies and the rationale behind them, and were not aware of or had not interacted with other editors.

몇몇 새 사용자들은 위키백과의 협동 문화, 즉 “누구나 편집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편집을 결심하기도 합니다. 몇몇 비활동 및 숙련된 사용자들의 경우, 위키백과가 어떻게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는지 알고 있습니다. 새 사용자들의 경우, 처음에는 위키백과의 협력적인 절차에 흥미를 보이며, 편집을 하기 전에 오프라인 프로그램이나 토론 페이지에서 위키백과의 원리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봅니다.

새 사용자들은 커뮤니티 기능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위키백과의 협동 문화에 더 자세히 참여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협력을 통해 처리되는 편집에 관심을 가진 새 사용자들은 많지만 집단 토론이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매우 적은데, 어디서 어떻게 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새 사용자들은 위키 내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하는 토론 페이지를 찾지도 사용하지도 못했고, 한국어와 체코어 모두 특별 이벤트를 통해 새 사용자들을 모으지 않는 이상 위키 밖에서의 모임에 참석하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위키 내의 토론과 위키 밖의 모임에 참석하면 숙련된 사용자와 비활동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관심사를 공유하고 내부적인 관리 업무에 더욱 참여하도록 맺어주고, 이를 통해 그들이 위키백과에 계속 기여하도록 도와줍니다. 새 사용자들은 이러한 혜택을 접하기 힘든데, 위키백과 집단에 들어가는 길을 찾지 못하거나 그것이 있는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새 사용자와 정착된 커뮤니티가 분단될수록 새 사용자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숙련된 사용자들은 새 사용자들을 돕지 못하게 됩니다. Though many new editors were intrigued by the collective process of editing, very few made the leap to participating in community discussions or activities likely because they did not know how or where to do so. Many new editors could not find or use talk pages to communicate with other editors on-wiki...and rarely attended off-wiki gatherings…Participating in on-wiki discussions and off-wiki meetings often helped experienced and retained editors cement their investment in Wikipedia…It’s hard for new editors to receive these same benefits because there’s no clear on-ramp to the Wikipedia community, or they are not even aware that it exists. This separation between new editors and the established community makes it difficult for new editors to become more progressively involved, and for experienced editors to support new editors.

이 주안점이 선택된 방식

한국어 위키백과의 의견 요청에서, 발견 8은 가장 많은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발견이었으며 (8명 중 7명의 사용자가 이 발견을 첫번째 또는 두번째로 중요한 발견으로 명시했습니다) 발견 5는 두번째로 중요한 의견이었습니다.

체코어 공동체의 일부 사용자와의 모임에서, 두 발견 모두 그룹의 5대 핵심 발견에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8이 맨 위에 있었고, 발견 5는 5번째였습니다.

위키미디어 재단 연구 핵심 팀 15명의 워크샵에서, 발견 8은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고, 발견 5는 네번째로 많은 지지를 받았습니다.

두가지 우선순위 높은 발견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주안점으로 병합되었습니다.

핵심 의견

재단 임직원 및 공동체의 토론에서 언급된 핵심 의견 중에는 다음 의견이 있었습니다:

발견 8

  • 특정 편집자는 공동체의 정책을 잘 설명하는 것을 넘어서 정책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위키백과의 질을 훼손하지 않고 그렇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느꼈습니다.
  • 정책에 대한 높은 관심은 선의의 기여자가 자신이 정책을 준수하는지 관심을 쏟게 만들게 하여 비생산적인 활동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잠재적인 문제 중 하나는 이러한 정책이 언제나 내부적으로 동일하거나 모든 경우에 동등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위키백과 방식"은 모든 위키백과에서 동일하지 않으므로, 재단은 잘못된 통일성을 강요하는 도구를 개발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 정책에 대한 높은 강조는 내면적인 목적이 논쟁적이고, 때로는 위키백과의 정책과 매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사회 변혁가 (위키백과에 기여하는 내면적인 이유가 사회의 대의명분을 반영하는 것)를 쫓아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위키백과의 정책을 변화할 수 있고 새 사용자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체적이고 문맥적인 도움말 (예를 들어 새 콘텐츠에 출처 없이 저장하려고 할 때 출처를 제시하도록 권하는 것)이 정책과 지침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보다 유용하다고 조언했습니다만, 다른 사람들은 자동 감지가 새 사용자에게 유용하다기보다 짜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습니다.
  • 현재로써는 커뮤니티가 독자들이 다른 정책/도움말 문서를 얼마나 잘 이해하는 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이 없습니다.

발견 5

  • 독자에게 위키백과의 절차를 소개하면 독자의 문서에 대한 신뢰도를 낮출 수도 있습니다.[1]
    • 오히려 유용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기대치를 낮추면 더 많은 사용자가 편집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숙련된 편집자는 대부분 위키백과의 컨텐츠에 대해 비판적입니다.
    • 정보 리터러시에 대해 교육하는 교육자 또는 사서에게 관심이 있는 분야일 수도 있습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경쟁자인 나무위키 공동체는 독자에게 더 직관적으로 다가옵니다: 나무위키의 대문은 커뮤니티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반면 한국어 위키백과의 대문은 대부분 콘텐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비형식적이고 문서의 독자 연구적인 어투는 개별 기여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합니다.
  • 모든 사용자가 공동체에 들어가고 싶어하거나 편집할 때마다 성대한 환영을 받고 싶어하지는 않습니다. 위키백과에 대한 기여를 알릴 수 있게 할 수는 있어야 하지만, 그를 강제해서는 안 됩니다.
  • 사람들에게 위키백과의 성질에 대해 너무 많은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람들을 겁먹게 해서는 안 됩니다 — 도움으로 느껴지기보다는 공포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점진적인 소개도 중요합니다.
  • 이 발견은 발견 2와도 연관되는데 위키백과의 명성이 잠재적인 사용자가 기여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게 만들기도 하는 점입니다.
  • 비슷한 문제는 대중의 위키백과의 사용과 지식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 위키백과 협업의 근간을 보여주기만 해서는 (토론 문서를 설명한다던가...) 위키백과 공동체에 실제적으로 들어가는 방법을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위키백과는 소셜 미디어 사이트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의해 저항을 맞을 수 있습니다.

각주